home
홈
search
맨위로가기
광명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2. 운수업체
광명시에는 시내버스, 마을버스 등을 운행하는 여러 운수업체가 있다. 광명시 면허의 운수업체는 화영운수 , 보영운수 (이상 시내버스), 자경마을버스 , 진양교통 (이상 마을버스)이 있다. [1] 이 외에도 서울특별시 , 광주 , 김포 , 부천 , 시흥 , 안산 , 안양 등 다른 시, 군에 차적을 둔 운수업체들도 광명시를 경유하는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1]
광명시를 경유하는 운수업체 지역 운수업체 서울특별시 공항리무진 , 관악교통 , 김포교통 , 범일운수 , 보영운수 , 세풍운수 , 신길교통 , 신인운수 , 영인운수 , 한성운수 광주 대원고속 김포 선진상운 부천 소신여객 , 부일교통 시흥 시흥교통 , 경원여객 안산 경원여객 안양 삼영운수
2. 1. 시내버스
광명시 에는 보영운수 , 화영운수 등의 시내버스 운행업체가 있다. 2023년 7월 기준으로, 이들 업체는 광역급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시내일반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노선들은 광명시 내 주요 지역과 서울특별시 , 안양시 , 시흥시 등 인접 지역을 연결한다. [1]
2. 1. 1. 광명시 차적의 운행 노선
2023년 7월 기준으로, 광명시 에 차적을 둔 시내버스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 [1]광명시 차적 운행 노선 현황 운행업체 노선 합계 광역급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시내일반 대수 합계 광역급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시내일반 보영운수 1 - 1 - - 10 - 10 - - 화영운수 19 1 3 - 15 269 5 28 - 241
화영운수 시내일반 노선노선 번호 운행업체 운행구간 주요 경유지 배차 간격 (분) 비고 1 화영운수 개봉역 ↔ 거모동광명사거리역 , 광명6동, 옥길동, 은행지구, 신천역 , 삼미시장, 신천동, 방산동, 월곶, 오이도역 , 시화지구, 이마트 시화점, 경기스마트고, 시흥푸르지오6차A5~8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2 화영운수 은계지구 ↔ 안양역 옥길지구, 천왕동, 광명사거리역 , 광명시청, 철산역 , 하안동, 소하동, 박달동 7~9 11 화영운수 광명돔경륜장 ↔ 안양역 개봉역 , 광명사거리역 , 노온사동, 가학동, 박달동25~35 11-1 화영운수 중앙하이츠A ↔ 여의도환승센터 광명사거리역 , 광명시청, 광명북중고교, 구일역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8~10 11-2 화영운수 소하동광명동굴 ↔ 여의도환승센터 소하지구, 하안4, 하안주공2·9단지, 철산초교, 광명경찰서, 철산역 , 광명시청, 광명북중고교, 구일역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10~15 11-3 화영운수 새미마을 ↔ 광명역 월동지구, 장곡동, 시흥시청역 , 연성동, 물왕저수지, 목감동 30~45 12 화영운수 중앙하이츠A ↔ 안양역 광명사거리역 , 광명시청, 철산역 , 하안4, 소하지구, 광명역 , 박달동6~9 17 화영운수 가학동광명동굴 ↔ 개봉역 광명역 , 소하동, 하안동, 철산역 , 광명시청, 광명북중고교, 광복시장7~10 21 화영운수 광명돔경륜장 ↔ 가산디지털단지역 광명6동, 광명사거리역 , 광명시청, 광명경찰서, 디지털3단지4 12~18 22 화영운수 개봉역 ↔ 광명종합터미널 광명사거리역 , 광명시청, 철산역 , 하안4, 소하지구, 광명역 10~15 27 화영운수 광명돔경륜장 ↔ 독산역 광명사거리역 , 광명시청, 철산역 , 하안현대A, 하안4, 하안주공2·9단지6~8 39 화영운수 개봉역 ↔ 새미마을광명사거리역 , 광명6동, 옥길동, 과림동, 경기자동차과학고, 금이동, 매화동, 시흥시청역 , 장곡동10~15 101 화영운수 광명7동차고지 ↔ 석수역 광명사거리역 , 철산2동, 광명시청, 철산역 , 광명경찰서, 철산초교, 하안주공2·9단지, 소하동, 기아대교6~8 102 화영운수 독산역 ↔ 광명종합터미널 하안4, 소하지구, 광명역 20~30
화영운수 일반좌석 노선노선 번호 운행업체 운행구간 주요 경유지 배차 간격 (분) 비고 200 화영운수 광명역 ↔ 목동7단지이케아·롯데아울렛광명점, 소하동, 철산역 , 광명시청, 광명북중고교 30~40
화영운수 /보영운수 직행좌석 노선노선 번호 운행업체 운행구간 주요 경유지 배차 간격 (분) 비고 3001 화영운수 광명역 ↔ 송도유원지소하동, 석수역, 제2경인고속도로 , 쌍용A, 신기시장, 인하대학교 15~25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3002 화영운수 광명역 ↔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소하동, 석수역, 제2경인고속도로 , 연수병원, 인천여고, 효정A, 송도환승센터 , 인천대입구역 20~30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8507 화영운수 소하동차고지 ↔ 사당역 이케아·롯데아울렛광명점, 광명역 , 서울대입구역 (사당역 방향) 5~10 민영제 노선 G9633 보영운수 석수공영차고지 ↔ 양재역 광명역 , 서초구청, 양재시민의숲역 [3]15~20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화영운수 맞춤형 노선노선 번호 운행업체 운행구간 주요 경유지 배차 간격 (분) 비고 77 화영운수 광명스피돔 ↔ 광명동굴 광명사거리역 , 밤일마을, 이케아·롯데아울렛광명점, 광명역 40~50 기점 기준 06:00 ~ 22:00 종점 기준 07:00 ~ 23:00 운행
2. 2. 마을버스
(분)비고 1 자경마을버스 개운아파트 ↔ 석수역 광명역세권1단지, 기아자동차, 기아대교 9~11 1-1 자경마을버스 광명역 ↔ 관악역 환경사업소, 석수시장 10 1-3 자경마을버스 광명역 ↔ 석수역 광명역세권휴먼시아, 충현고교, 기아자동차, 기아대교 8~11 88 자경마을버스 소하동 광명동굴 입구 ↔ 이마트 소하점 광명역 , 자경마을, 소하지구40 06:30 ~ 운행 99 자경마을버스 소하 6·7단지 ↔ 밤일마을 소하도서관, 안터마을 25 06:45 ~ 운행 광명01 진양교통 화영운수차고지 ↔ 철산리버빌아파트, 구일역 광명7동행정복지센터, 철산역 , 모세로삼거리, 광명북중고등학교 10~15
2. 3. 다른 시, 군 운수업체
광명시 에는 서울특별시 , 광주시 , 김포시 , 부천시 , 시흥시 , 안산시 , 안양시 등 다른 시, 군에 차적을 둔 운수업체들도 운행하고 있다. 이들 노선은 광명시와 인접 지역 간의 대중교통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광명시를 경유하는 다른 시, 군 운수업체 지역 운수업체 서울특별시 공항리무진 , 관악교통 , 김포교통 , 범일운수 , 보영운수 , 세풍운수 , 신길교통 , 신인운수 , 영인운수 , 한성운수 광주 대원고속 김포시 선진상운 부천시 소신여객 , 부일교통 시흥시 시흥교통 , 경원여객 안산시 경원여객 안양시 삼영운수
각 지역별 노선은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룬다.
2. 3. 1. 서울특별시 차적의 운행 노선
(분)비고 503 보영운수 광명공영차고지 ↔ 서울역 하안3동, 오리로, 광명경찰서, 디지털단지5, 남구로역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여의도역 , 원효로 , 청파로 9~19 서울시 면허 504 한성운수 광명공영차고지 ↔ 을지로입구역 광명우체국, 광명시청, 모세로, 디지털단지5, 신림역, 신대방3, 동작구청, 노량진역 , 신용산역 , 삼각지역 , 숙대입구역 , 서울역 4~10 서울시 면허 505 범일운수 노온사동 ↔ 서울역 (남대문시장) 광명역 , 신촌마을A, 시흥대교, 구로디지털단지역 , 보라매역 , 공군회관, 용산전자상가, 남영역 , 갈월동5~15 서울시 면허 643 관악교통 양천공영차고지 ↔ 강남역 개봉역 , 신림역, 서울대입구역 , 사당역 , 고속터미널역 , 신논현역 7~12 서울시 면허 철산리버빌아파트 정차651 김포교통 방화동 ↔ 서울대학교 방화역 , 김포공항 , 강서면허시험장, 서부트럭터미널, 개봉역 , 신림역, 서울대입구역 5~12 서울시 면허 철산리버빌아파트 정차652 신길교통 신월동 ↔ 독산동까치산역 , 화곡역 , 가양역 , 신월동, 서부트럭터미널, 개봉역 , 가산디지털단지역5~15 서울시 면허 철산리버빌아파트 정차653 신길교통 , 영인운수 외발산동 ↔ 가산디지털단지역 화곡역 , 까치산역 , 서부트럭터미널, 오류 나들목, 개봉역 15~25 서울시 면허 철산리버빌아파트 정차5012 신인운수 가산동 ↔ 용산역 가산디지털단지역, 개봉역 , 서부트럭터미널, 신정네거리역 , 목동역 , 영등포시장, 여의도환승센터, 한국증권거래소, 용산전자상가 8~20 서울시 면허 철산리버빌아파트 정차5535 한성운수 광명공영차고지 ↔ 노들역 하안주공1·3·4·10단지, 독산주공13·14단지, 독산동우시장, 독산고개, 신림역, 현대시장, 장승배기역 , 동작구청, 노량진역 7~15 서울시 면허 5536 한성운수 광명공영차고지 ↔ 노들역 하안1동, 광명경찰서, 디지털단지5, 이마트 구로점, 구로디지털단지역 , 보라매역 , 성대시장, 동작구청, 노량진역 5~12 서울시 면허 5627 범일운수 노온사동 ↔ 구로디지털단지역 학온동, 광명역 , 소하동, 말미고개 6~12 서울시 면허 5630 보영운수 광명공영차고지 ↔ 목동역 하안주공1·3·4·10단지, 독산주공13·14단지, 독산동우시장, 독산4, 디지털단지5, 남구로역 , 구로역 , 서울남부지방법원·검찰청 8~19 서울시 면허 5633 범일운수 노온사동 ↔ 여의도순복음교회 학온동, 광명역 , 소하동, 시흥4, 백산초교, 시흥동, 독산동, 구로디지털단지역 , 보라매역 , 공군회관, 63빌딩 , 여의나루역 9~15 서울시 면허 5634 보영운수 광명공영차고지 ↔ 여의도순복음교회 하안주공12단지, 독산동우시장, 구로디지털단지역 , 대림동우체국, 대길초교, 보라매역 , 공군회관, 63빌딩 , 여의나루역 8~19 서울시 면허 5714 보영운수 광명공영차고지 ↔ 이대역 (대흥동) 하안3동, 하안주공1·3·4·10단지, 광명경찰서, 남구로역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당산역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역 5~15 서울시 면허 6616 세풍운수 철산동 ↔ 온수동 철산역 , 광명시청, 광명사거리역 , 경인중교, 오류동역 , 정진학교, 온수역 9~12 서울시 면허 6635 한성운수 하안동 ↔ 구로디지털단지역 독산동, 독산동우시장, 금천우체국, 문성초교 7~16 서울시 면허 6637 범일운수 노온사동 ↔ 목동 광남4, 광명사거리역 , 개봉역 , 구일역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영등포구청 5~7 서울시 면허 6638 세풍운수 철산동 ↔ 오목교역 철산역 , 광명시청, 광명사거리역 , 개봉역 , 고척동, 목동역 , 오목교역 12~18 서울시 면허 6713 세풍운수 철산동 ↔ 홍대입구역 개봉4, 개봉역 , 구일역 , 구로역 , 신도림역 , 신풍역 , 서울지방병무청역 , 샛강역 , 여의도역 , 국회의사당역 , 광흥창역 , 신촌역 5~10 서울시 면허 금천02 범일운수 벽산A ↔ 안천중학교 은행나무, 대명시장, 금천구청역, 독산한신A 18 서울시 면허 마을버스 금천04 대상운수 금천구청역 ↔ 기아자동차 시흥4, 문일고입구, 시흥유통상가, 기아대교 8 서울시 면허 마을버스 금천05 경성운수 독산한신A ↔ 가산디지털단지역 안천중교, 하안13단지, 독산근린공원, 독산역, 대륭테크노타운, 디지털3단지 10 서울시 면허 마을버스 구로11 수빈운수 대림역 ↔ 개봉역 구로구청, 고대구로병원, 한일유앤아이, 도덕초교, 철산2동, 광명2동, KT 개봉플라자, 개봉시장 10 서울시 면허 마을버스 6004 공항리무진 가산디지털단지역 ↔ 인천국제공항 패션단지, 금천구청역, 시흥4, 석수역, KTX 광명역 ,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대교 ) 30~40 서울시 면허 6014 공항리무진 광명역 ↔ 인천국제공항 소하동, 철산역 , 광명사거리역 , 오류동입구, 화곡로입구, 김포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30~40 서울시 면허
2. 3. 2. 인천광역시 차적의 운행 노선
신흥교통 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6770번은 광명역 과 인천국제공항 을 연결한다. [1] 2018년 1월 17일에 신설되었다. [1]
2. 3. 3. 김포시 차적의 운행 노선
선진상운 에서 운행하는 388번 버스는 김포시 면허로, 김포한강신도시와 석수역을 연결한다. 이 노선은 하늘빛마을, 김포제일고교, 전원마을, 걸포동, 풍년마을, 고촌, 개화역 , 송정역 , 마곡역 , 서부트럭터미널, 개봉역 , 시흥대로 를 거쳐 운행하며, 광명시 구간에서는 철산리버빌아파트에 정차한다. [1]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노선 번호 운행 업체 운행 구간 주요 경유지 배차 간격 (분) 비고 388 선진상운 김포한강신도시 ↔ 석수역 하늘빛마을, 김포제일고교, 전원마을, 걸포동, 풍년마을, 고촌, 개화역 , 송정역 , 마곡역 , 서부트럭터미널, 개봉역 , 시흥대로 10~15 김포시 면허, 철산리버빌아파트 정차
2. 3. 4. 부천시 차적의 운행 노선
직행좌석소신여객 부천터미널 소풍 ↔ 안양 (범계역 )복사골문화센터, 반달마을, 송내역 , 시흥요금소, 광명역 , 대동문고, 남부시장, 비산사거리 30~40 부천시 면허
2. 3. 5. 시흥시 차적의 운행 노선
직행좌석 경원여객 이마트 시화점 ↔ 석수역시화지구, 배곧한라비발디A, 배곧중심상가, 광명역 → 석수역 20~40 제3경인고속도로-서해안고속도로 무정차시흥시 면허
2. 3. 6. 안산시 차적의 운행 노선
일반좌석경원여객 본오A ↔ 여의도환승센터 사동, 상록수역 , 안산대학교 , 일동, 부곡동, 수암동, 목감동, 가학, 노온사, 광명사거리역 , 개봉역 , 구일역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5~20 안산시 면허320 일반좌석경원여객 반월공단 ↔ 여의도환승센터 안산역 , 원곡고교, 와동, 월피동, 부곡동, 수암동, 목감동, 가학, 노온사, 광명사거리역 , 개봉역 , 구일역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10~15 안산시 면허
2. 3. 7. 안양시 차적의 운행 노선
삼영운수 에서 운행하는 3번 버스는 평촌스마트스퀘어와 철산역 을 연결하며, 안양농수산물시장, 범계역 , 안양1번가, 박달동, 광명역 , 소하동, 하안동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4~7분이다. [1]삼영운수 에서 운행하는 8-2번 버스는 석수공영차고지와 우성고등학교를 연결하며, 광명역 , 안양1번가, 명학역, 금정역 , 군포역 , 한세대학교 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분이다. [1]안양시 차적의 운행 노선 노선 번호 운행 구간 주요 경유지 배차 간격 (분) 3 평촌스마트스퀘어 ↔ 철산역 안양농수산물시장, 범계역 , 안양1번가, 박달동, 광명역 , 소하동, 하안동 4~7 8-2 석수공영차고지 ↔ 우성고등학교 광명역 , 안양1번가, 명학역, 금정역 , 군포역 , 한세대학교 15
3. 요금 체계
광명시의 시내버스 요금은 모든 노선에 정액요금제가 적용된다. [2] 광명시의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요금은 경기도 의 시내버스 요금 체계를 따르지만, 마을버스는 독자적인 요금 체계를 따른다. 2019년 9월 28일 기준 경기도 시내버스 요금은 다음과 같다.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표 (2019년 9월 28일 기준) 종류 나이 현금 (원) 카드 (원) 조조요금 (원) 일반시내 (DRT) 어른 (만 19세 이상) 1500KRW 1450KRW 1250KRW 청소년 (만 12세 ~ 18세) 1100KRW 1010KRW 870KRW 어린이 (만 6세 ~ 11세) 800KRW 730KRW 630KRW 일반좌석 어른 (만 19세 이상) 2500KRW 2450KRW 2050KRW 청소년 (만 12세 ~ 18세) 1900KRW 1820KRW 1520KRW 어린이 (만 6세 ~ 11세) 1700KRW 1640KRW 1370KRW 직행좌석 (간선급행) 어른 (만 19세 이상) 2900KRW 2800KRW 2400KRW 청소년 (만 12세 ~ 18세) 2000KRW 1960KRW 1680KRW 어린이 (만 6세 ~ 11세) 2000KRW 1960KRW 1680KRW 경기순환 어른 (만 19세 이상) 3100KRW 3050KRW 2600KRW 청소년 (만 12세 ~ 18세) 2200KRW 2140KRW 1820KRW 어린이 (만 6세 ~ 11세) 2200KRW 2140KRW 1820KRW 광역급행(M버스) 어른 (만 18세 이상) 2900KRW 2800KRW 2300KRW 청소년 (만 12세 ~ 17세) 2100KRW 2000KRW 1600KRW 어린이 (만 6세 ~ 11세) 1600KRW 1600KRW 1300KRW
2019년 11월 23일 기준 광명시 마을버스 요금은 다음과 같다.
광명시의 마을버스 요금표(2019년 11월 23일 기준) 종류 나이 카드 (원) 현금 (원) 마을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1300KRW 1400KRW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950KRW 1000KRW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680KRW 700KR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